도침은 과거에 가마를 땔 때, 가능한 많은 그릇을 넣기 위해 고안된 일종의 ‘도구’였습니다. 당시엔 ‘장식’이 아니었던 거죠. 현재는 전기 가마를 쓰지만, 과거에는 한 번 가마를 땔 때 필요한 노동력과 땔감이 상당했기에 최대한 그릇을 많이 넣는 것이 중요했습니다. 조선 시대에 제작된 사발에서 도침의 흔적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 당시엔 안쪽에 도침을 놓고 그릇을 쌓았기 때문에 도침의 흔적이 양면에 있다는 점이 제 작업과 다른 부분입니다. 지금은 내화판*과 지주*가 있기 때문에 바닥면의 유약을 닦아내기만 하면 되지만, 저는 유약의 색감과 질감을 기물 내에서 최대한 많이 보여주고 싶어 ‘장식’으로써 도침을 활용했어요. 도침과 유약이 만나는 부분도 상당히 재미있습니다. 또한 제 작업의 또 다른 특징인 자연스러운 곡선을 만들기 위해 기물을 변형하는데, 이 때 바닥 가운데 부분이 튀어나오면서 쓰기 불편한 기(器)가 됩니다. 이를 보완하는 것은 도침을 활용하는 또 다른 이유입니다.
* 내화판: 가마 안에서 기물을 쌓아 올려 소성할 때 쓰는, 내화 재료로 만든 넓적한 판
* 지주: 가마에서 도자기를 재임할 때 상판과 상판 사이에 3~4곳을 받치는 내화물 기둥